모바일 시대의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

모바일 시대의 콘텐츠 소비 패턴 변화를 제대로 이해하면 보다 효율적으로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할 수 있다.

스마트폰이 등장한 이후로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콘텐츠를 소비하는 모습은 크게 변화했습니다. 검색을 통해서 원하는 정보를 직접 찾아가던 적극적인 소비에서, 누군가가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 채널 등에 게시한 특정 콘텐츠중에서 선택을 하는 소극적인 소비로 말이죠. (SNS 또는 제휴채널을 통한 유입이 전체의 90% 이상을 차지하며, 검색을 통한 유입은 5% 미만)

이런 변화는 ‘사이트를 방문한다’는 의미를 매우 희미하게 만들었습니다. 사람들은 페이스북이나 카카오톡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웹뷰를 통해서 콘텐츠를 불러왔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콘텐츠를 확인한 후에는 다시 원래의 흐름인 페이스북 타임라인이나 카카오톡 채널 페이지로 빠르게 되돌아가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방문당 페이지뷰는 1.2 ~ 1.4 정도)

뿐만 아니라 메인페이지의 역할도 많이 축소가 되었습니다. 정확하게는 메인페이지를 방문하는 사용자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메인페이지 방문은 전체의 1% 미만)

이런 변화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다면 사이트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일에 좀더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This site is protected by reCAPTCHA and the Google Privacy Policy and Terms of Service apply.